<
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팁

장마철 피해 예방방법 및 신고기관은?

by 노마드햇님 2023. 7. 18.
728x90

장마철 피해 예방방법 및 신고기관은 어딘지 알아보겠습니다.

장마철에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하천 주변 건물에서의 주의: 하천이나 강 주변에 위치한 건물은 홍수나 지나친 비가 발생할 경우에 높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비올 때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장마철에는 가능한 위험 지역에서의 활동을 최소화하세요.

2.배수 시설 유지 및 정기 점검: 홍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집 주변의 배수 시설을 유지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배수구와 배수관의 흐름을 확인하고, 빠르게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3.하천 주변 식재료 관리: 하천이나 강 주변에 위치한 농경지나 주택 등에서는 적정한 식재료 관리가 중요합니다. 쓰레기나 기타 재료를 하천이나 배수로 버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쓰레기의 폐기는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배수 시설을 막을 수 있습니다.

4.방수 및 방호 조치: 가정 내부나 상업용 건물에서는 방수 및 방호 조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방수 처리된 창틀, 방수벽지, 방수 시트, 펌프 및 방수 문 등을 설치하여 물의 침입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5.비상 대피 계획: 장마철에는 비상 대피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상 대피 루트와 모임 장소를 지정하고 가족 구성원들에게 알리세요. 장마철에는 비상 대피용품과 식량을 비축하고, 비상 연락망을 확인하여 응급 상황에 대비하세요.

장마철에는 지역의 특정 조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대비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방 정부나 관련 기관의 안전 관련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현지의 재해 예방 및 대응 계획을 확인하여 적절한 대비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세요.

 

장마철 피해 발생시 신고기관

 

장마철에 피해가 발생했을 때, 신고해야 할 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화재, 구조, 응급상황: 화재, 구조, 응급상황과 관련된 긴급 상황은 119(소방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2.피해 상황 신고: 장마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 상황은 해당 지역의 관할 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국가 재난 관리본부, 시/군/구청, 경찰서 등의 담당 기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주소와 전화번호 등 신고할 기관의 연락처는 해당 지역의 관할 기관 웹사이트, 현장 안내판 또는 비상 상황 안내 센터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긴급 구조 요청: 장마로 인해 발생한 긴급 구조가 필요한 상황은 119(소방서)에 신고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잠긴 문, 침수된 건물, 급격한 수위 상승 등으로 인한 위험 상황에 대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4.재난 관련 상담 및 신고센터: 국가 재난 관리본부 등에는 재난 관련 상담 및 신고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해당 센터에 문의하여 피해 신고 및 상황 보고 등에 대한 도움과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연락처는 국가 재난 관리본부 웹사이트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마로 인한 피해 발생 시 신고할 대상은 신속하게 조치가 가능한 기관에 연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변 상황에 따라 위급한 상황이라면 119(소방서)에 신고하여 구조나 응급 조치를 요청하세요. 이외에도 해당 지역의 관할 기관에 신고하여 피해 현황을 보고하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재난신고는 1588-3650 전국어디서나 여기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또한 아래 사이트에 문의하세요

사유재산피해신고 (safekorea.go.kr)

 

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

 

2023.07.18 - [티스토리팁] - 잠긴문여는방법 및 위급상황시

 

728x90

댓글